분류 전체보기

· Network
이 글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기록하는 글 입니다. 오류나 고쳐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HTTP 응답코드 2xxHTTP 응답코드를 통해 HTTP Request(요청)에 대한 처리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 응답코드는 100~500번대까지 상태 코드가 정의되어 있는데, 그 중 200번대(2XX)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서버에서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뜻입니다. 200번대 응답코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응답코드는 대표적으로 `200(ok)`, `201(created)`가 있습니다.이들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합시다. ✅ 200 OK와 201 Created의 차이점🔥 주로 사용되는 경우`200 OK`는 일반적으로 요청(Request)을 서버가..
· Network
이 글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기록하는 글 입니다. 오류나 고쳐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웹 개발을 하면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해놓기 위해 Session과 Cookie을 사용합니다. Session은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해놓는 방식이며,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닫을 때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는 임시(Temporary) 특성을 띄고 있습니다.Cookie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며, 브라우저를 닫아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session에 비해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두 방법 모두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사용자를 추적(track)하거나 관리(manage)할 때 도움을 줍니다.두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
· 프로젝트
이 글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기록하는 글 입니다. 오류나 고쳐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디자인 패턴 도입의 필요성GitGet 서비스에는 `사용자의 프로필`, `토픽의 이미지`, `인스턴스(챌린지)의 이미지`를 저장/수정/삭제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이에 따라서 파일 시스템을 구현했습니다.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개발진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각자 서버를 돌렸기 때문에`java.io.File`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들을 통해  로컬 저장소(각자의 컴퓨터 하드)에 파일을 저장/수정/삭제하는 기능(이하 파일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어느정도 개발이 완료되고, AWS에 서비스를 배포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배포 이전에는 각자의 로컬 저장소에 파일을 저장하고 사용해도 문제가 없었..
· 프로젝트
이 글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기록하는 글 입니다. 오류나 고쳐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 CDN - AWS CloudFront 적용GitGet 프로젝트의 File 시스템은 운영 환경에서 사용할 Prod 버전과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는 Local 버전이 있습니다.Prod 버전에서는 AWS S3 서비스를 활용하여, S3 버킷에 이미지를 저장합니다. AWS S3 버킷에 객체(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조회/생성/수정/삭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서비스의 특성 상, 생성/수정/삭제 요청보다 조회 요청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AWS에서 제공하는 CDN 서비스인 AWS CloudFront를 적용하고, 조회 시 CloudFront를 통해 접근하도록 했습니다. CDN 서비스는 Edge ..
· Spring Boot
이 글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기록하는 글 입니다. 오류나 고쳐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커스텀 어노테이션이 필요한 이유🔥 기존에 사용했던 방법GitGet 프로젝트에서는 소셜로그인 & JWT 발급 이후에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Spring security의 filterChain을 거치면서 SecurityContext에 인증된 객체 (`UserPrincipal`)에 있는 `User` 객체를 받아와 사용합니다. `@AuthenticationPrincipal` 어노테이션 덕분에 SecurityContext의 메서드를 직접 호출하지 않아도 되지만, `userPrincipal.getUser()`와 같이 중복된 코드가 발생했습니다.코드 리뷰를 받았을 때 커스텀 어노테이션을 작성하여 ..
· AWS
이 글은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기록하는 글 입니다. 오류나 고쳐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CloudFrontAWS CloudFront는 AWS에서 제공하는 CDN 서비스로서, 정적 및 동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빨리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CloudFront는 edge location라는 전 세계의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합니다.AWS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Edge location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합니다. ✅ AWS S3에 CloudFront 적용하기AWS CloudFront를 적용하기 이전에, 당연하지만 S3에 CloudFront를 적용하고자하는 S3가 존재해야 합니다. 🔥 CloudFront 배포 생성우선 AWS CloudFr..
HEY__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